인천만(灣) 조력발전소 건설, 인천시 '속앓이'
상태바
인천만(灣) 조력발전소 건설, 인천시 '속앓이'
  • master
  • 승인 2010.01.21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인천만(灣)에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를 짓는 계획을 발표하자, 인천시는 '속앓이'를 하고 있다. 시가 추진 중인 강화 조력발전소와 영종도~강화도 연결도로(교량) 건설사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한국수력원자력과 GS건설이 20일 양해각서(MOU)를 맺은 인천만 조력발전소는 총 사업비 3조9천억원을 들여 영종도~장봉도~강화도를 방조제로 연결, 발전용량 1천320㎿의 조력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방조제에는 왕복 2차선의 유료 도로를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토해양부와 한국해양연구원, 한수원, GS건설은 이 사업을 위해 2006년부터 '해양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를 진행했다.

   시는 지난 2007년 강화도~교동도~석모도~서검도를 방조제로 연결해 발전용량 840㎿의 강화 조력발전소를 짓는 계획을 발표한 뒤 이미 타당성조사를 마쳤고 현재 사전환경성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강화 조력발전소에는 총 사업비 2조3천500억원을 투입하며, 2016년 완공되면 시운전을 거쳐 2017년 상업운전을 개시할 계획이다.

   시는 이달 안에 한국중부발전㈜, 대우건설컨소시엄, 강화군과 사업 추진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 뒤 국토해양부에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을 신청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천만 조력발전소 계획이 발표되면서 그동안 환경단체의 반대를 무릅쓰고 강화도 어민들과 협의를 진행하며 추진해 온 강화 조력발전소 건설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시는 우려하고 있다.

   더구나 인천만 조력발전소가 건설될 옹진군 장봉도는 국내 습지보호지역 중 가장 넓은 갯벌(68.4㎢)이 있고, 강화도 남단 역시 갯벌생태계가 양호한 지역으로 꼽히고 있어 환경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내 착공을 목표로 이미 상당한 절차를 진행한 강화 조력발전소가 이제 MOU 체결 단계인 인천만 조력발전소로 발목을 잡힐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강화 조력발전소의 경우 갯벌이 많은 강화도 남단을 피해 섬 서쪽에 건설하면서도 섬 전체 12개 어촌계 어민 400여가구에 어업보상을 할 계획인데,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계획 발표로 난항을 겪지 않을까 걱정된다"라고 말했다.

   시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개최 이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영종도~강화도 연결도로도 차질이 예상된다.

   시와 포스코건설이 건설하는 이 도로는 영종도 북단에서 신도를 거쳐 강화도 남단을 해상 교량으로 잇는 14.8㎞, 왕복 4차선 규모다. 총 사업비는 8천억~1조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영종도~강화도~개성공단을 잇는 총 연장 58.2㎞ 도로의 일부여서 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활성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인천만 조력발전소가 건설돼 2개의 방조제 도로를 통해 영종도와 강화도가 연결되면 영종도~강화도의 통행량이 줄고 건설 필요성도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일단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에 부정적인 쪽으로 가닥을 잡고 앞으로 환경협의회 등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런 입장을 전달하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