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사람을 사진으로 담는 나들이
상태바
착한 사람을 사진으로 담는 나들이
  • 최종규
  • 승인 2011.07.05 0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찾아 읽는 사진책] 최창수, 《지구별 사진관》

 퍽 젊다고 하는 나이에 지구별 곳곳을 찾아다니면서 사진을 찍은 최창수 님이 당신이 찍은 사진에 얽힌 이야기를 글로 담은 책 《지구별 사진관》(북하우스,2007)을 읽습니다. 사진책에 실린 사진을 살피면서 꼭 아무개 사진 느낌이 난다 하고 생각했더니, “아무튼 나는 스티브 매커리 사진을 열심히 흉내내기 시작했다. 거장의 작품을 함부로 따라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난 그 과정을 통해 내 사진이 조금씩 나아지는 걸 느꼈다(25쪽).”는 말마따나, 스티브 매커리 님 사진을 따라하는 사진이었습니다.

 스티브 매커리 님 사진이 얼마나 훌륭하거나 거룩하거나 아름답기에 굳이 이분 사진을 따라하느냐 싶습니다. 아니, 최창수는 최창수이지, 굳이 스티브 매커리 사진 느낌이 나는 사진을 찍을 까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생각해 보면, 다큐사진을 찍는다는 어느 분은 세바스티앙 살가도 님 사진이나 요제프 쿠델카 님 사진을 따라하려고 애쓰기도 했다는 이야기를 책에서 읽었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읽으며 참 딱하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살가도 님 사진이 좋으면 마음으로 담으면 됩니다. 쿠델카 님 사진이 좋을 때에도 마음으로 옮기면 돼요.

 어쩌면 습작을 하듯이 따라할 수 있습니다. 그림쟁이 고흐 님이 밀레 님 그림을 따라 그리듯이, 얼마든지 스티브 매커리 님 사진이든 세바스티앙 살가도 님 사진이든 따라하며 찍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고흐 님이 밀레 님 그림을 따라하며 그릴 때에는 ‘밀레 붓질이 살아나는 그림’이 아니라 ‘고흐 붓질이 춤추는 그림’입니다. 좋아하는 사람 그림결을 배우면서 고개를 숙이되, 내 마음과 넋을 알뜰히 살리면서 그림으로 그렸습니다.

 사진책 《지구별 사진관》을 넘기면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이 사진책에 실린 사진은 ‘최창수 사진인가, 아닌가?’ 하고.

 “더 나은 사진을 찍을 수 있으리란 기대감으로 도시보다는 시골을 찾았고, 큰길보다는 골목을 헤맸고, 축제를 쫓아다녔다. 사진 찍는 게 별일이 아닌 잘사는 나라보다는 사진기를 둘러멘 내게 더 큰 관심과 사랑을 쏟아 주는 오지를 여행했다(18쪽).”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고개를 갸웃합니다. 시골에 찾아간대서 더 낫다 싶은 사진을 찍을 수 있지 않습니다. 골목을 헤맨들 잔치마당을 찾아나선들 더 낫다 싶은 사진거리를 얻을 수 있지 않아요.

 최창수 님은 ‘오지 여행’을 했다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오지’라 하는 ‘두메’란 이 지구별 어디에도 없어요. 두메가 아닌 ‘삶터’입니다. 두메로 찾아가는 사람한테는 참 깊디깊어 멀디멀구나 하고 느낄는지 모르나, ‘두메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내 보금자리에서 내 깜냥껏 즐거이 삶을 일구니까, 이러한 두메 삶자락은 ‘외딴 곳’이 되지 않아요. 살가우며 아름다운 보금자리입니다.

 여행을 하는 사람은 으레 ‘오지 여행’이라 말하지만, ‘여행길을 나서는 사람한테만 멀다’뿐, ‘여행하는 사람이 찾아간 곳’에서 ‘오래도록 살아온 사람’한테는 살가우며 넉넉한 고향입니다.

 그러니까, 사진을 찍겠다는 사람이라면 ‘여행하는 내가 외딴 곳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더 따숩게 반기는 곳에서 더 따숩게 느낄 만한 사진을 찍을 노릇이 아니라, ‘여행하는 내가 살아가는 터전 둘레’에서 ‘가장 흔하며 너른 이웃’한테도 더없이 따숩게 느낄 만한 사진을 찍을 때에 비로소 사진다운 사진이 됩니다. 스티브 매커리라는 이가 찍은 사진이라면 이러한 사진이겠지요.

 “난간에 매달리고, 철로나 도로에 뛰어들고, 바닷물이나 빗속을 헤매는 등 갖은 위험한 상황에 온몸과 카메라를 내던졌다. 그러고는 내가 봐도 프로 같은 내 모습에 도취하곤 했다. 사진도 그렇게 찍으니 보답이라도 하듯 잘 나오는 것 같았다(34∼35쪽).”는 이야기에서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듭니다. ‘프로 같은’ 모습이란 무엇일까요? ‘사진이 잘 나오는’ 듯한 느낌이란 무엇인가요? 사진에는 프로와 아마란 부질없습니다. 아니, 사진뿐 아니라 글이든 연극이든 삶이든 마찬가지예요. 프로 살림꾼이 밥을 잘 할는지요. 여느 살림꾼이 한 밥은 맛이 없을는지요.

 남들이 알아주어야 좋은 사진이 아닙니다. 사진공모전에서 상을 받아야 좋은 사진이 아닙니다. 평론가가 손가락을 추켜세워야 좋은 사진이 아닙니다. 달력에 깃드는 사진이 되어야 좋은 사진이 아니에요.

 “나는 사진을 통해 그런 걸 이야기하고 싶었다. 인간의 행복과, 희망, 사랑, 우정. 잘사는 나라가 아닌 가난한 나라에서 피어난 것이라면 더욱 소중하고 순수할 것이었다(39쪽).” 같은 이야기에서도 고개를 갸우뚱하고 맙니다. 가난한 나라에서 피어난 사랑이기에 더욱 아름답거나 깨끗할 수 없습니다. 사랑이라면 어디에서 어떤 사랑이 되더라도 아름답거나 깨끗합니다.

 5만 원을 가진 사람이 6만 원을 가진 사람보다 더 아름답거나 깨끗할까요. 50만 원을 가진 사람이 60만 원을 가진 사람보다 더 아름답거나 깨끗한가요. 500만 원을 가진 사람이 600만 원을 가진 사람보다 더 아름답거나 깨끗하다 할 만한가요.

 가난한 나라에 가서야 비로소 사랑과 희망과 우정을 이야기하는 사진을 얻는다면, 가난하지 않다는 나라에는 사랑과 희망과 우정이 없다는 뜻이 될는지 아리송합니다. 그러면, 사랑도 희망도 우정도 없다는 가난하지 않다는 나라에서는 사람들이 무얼 하며 어떻게 살아가려나요. 사진을 찍은 최창수 님이 살아가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가난하지 않은 나라’인데, 이 가난하지 않는 나라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사람한테서는 사랑이나 희망이나 우정을 찾아볼 수 없이 슬프거나 외롭거나 쓸쓸하기만 할는지요.

 이리하여, 최창수 님은 “나는 프로 사진작가에 비해 실력, 장비, 경비, 일정, 교통수단 등 모자라는 구석이 너무도 많았다. 내가 더 낫다고 생각되는 건 단 한 가지, 여행과 사진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었다(59∼60쪽).” 하고까지 이야기합니다. 그래요, 어쩌면 ‘순수한 열정’이 있을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사진길을 걷는 아주 많은 사람들은 이웃 일본이나 중국으로조차 마실을 못 가곤 합니다. ‘오지 여행’이든 ‘세계 여행’이든 꿈조차 못 꾸는 프로 사진쟁이가 꽤 많습니다. 참말로 최창수 님한테 더 나은 대목은 ‘순수한 열정’이라 할 만할까요. 최창수 님한테는 ‘순수한 열정’이 있어서 사진여행을 다닐 수 있었을까요.

 “이란 이후에는 대개의 유라시아 횡단 여행자가 그러듯 터키로 향할 계획이었고, 예멘이란 동네는 지구본을 돌려 보지 않는 이상 어디에 붙어 있는지 정확히 알지도 못했다(195쪽).” 같은 대목에서도 느끼지만, 지구별 어디에 붙었는지조차 모르는 나라로 간대서 한결 나은 사진을 얻지 않습니다. 더욱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는 나라라 한다면, 이 나라 사람이 무엇을 꿈꾸고 무엇을 사랑하며 무엇을 아끼는지를 알 턱이 없습니다.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자 동무로 찍는 사진이 아니라, 늘 스쳐 지나가면서 찍는 사진이 되는데, 스쳐 지나가면서 사람들한테 ‘웃는 모습을 보여 달라’고 바라거나 웃기는 모습을 보여주며 웃음꽃을 피울 때에 찍는 사진이란 얼마나 아름답거나 보람차거나 사랑스럽다 할 만한 사진이 될까 알쏭달쏭합니다. 무엇보다, 예멘사람은 예멘사람입니다. 최창수 님은 예멘을 몰라도 예멘사람은 예멘을 압니다. 예멘사람은 예나 이제나 예멘사람으로 살아갑니다. 예멘은 ‘두메’도 ‘먼 나라’도 ‘숨은 나라’도 아닙니다.

 “그(일본 여행자)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예멘 남자 복장을 하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어찌나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지 뒤통수에 대고 비웃었던 기억이 난다(201쪽).” 같은 대목에서도 새삼스레 느낍니다. 예멘사람들처럼 옷을 차려입은 사람이 웃기게 보여서 비웃는다면, 예멘사람들 차림새를 사진으로 찍는 사람은 안 웃겨 보일는지 궁금합니다. 예멘사람이 입는 옷을 장만해서 몸소 입는 사람하고, 예멘사람 차림새를 스쳐 지나가는 눈길로 사진으로 담는 사람하고, 어느 쪽에 예멘 삶을 조금 더 가까이 느껴 보려고 한달 수 있을까요.

 가장 나은 길이라 한다면, 돈을 주고 예멘 옷을 사 입기보다, 예멘땅 어디에서라도 일자리를 얻어 예멘사람하고 함께 일하면서 시나브로 여느 예멘사람 옷차림으로 스며들 때입니다. 지나가며 사진을 찍는 사람이 ‘멈추어 서서 옷을 입은 사람’을 비웃는다면 그야말로 걸맞지 않습니다. 예멘사람이 아닌 일본사람이니까 예멘 옷차림이 어울릴 수 없을 텐데, 어울릴 수 없는 옷차림을 당차게 하면서 거리낌없이 걸어다닐 만큼 고개를 들지 않으면서 얼마나 예멘을 사귀면서 사랑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진책을 덮습니다. 《지구별 여행자》라는 책에서 느낌을 따왔다는 《지구별 사진관》이라는 사진책을 덮습니다.

 지구별은 여행하는 곳으로 바라볼 수도 있을 테지만, 지구별은 여행하는 곳이 아닙니다. 지구별은 살아가는 곳입니다.

 지구별에서 사진관을 차릴 수도 있을 테지만, 지구별은 사진찍는 곳이 아닙니다. 지구별은 사랑하는 곳입니다.

 여러 곳으로 여행을 다니면서 사진을 찍는 사람은 ‘어쩌다 찾아와서 한 번 스치고 지나갈 뜨내기’한테 ‘고맙게 사진으로 찍혀’ 주는 ‘착한 사람을 만나는’ 사람입니다.

 《지구별 사진관》은 사진 장비라든지 사진결이라든지, 얼추 스티브 매커리 님 사진결을 닮으려고 애쓴 티가 물씬 납니다. 그러나, 질감이나 빛이나 사진감은 스티브 매커리 님을 따라하지만, 막상 스티브 매커리 님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을 만나 사진을 찍던 넋을 살피면서 배우지는 못합니다.

 참말, 스티브 매커리 님은 ‘착한 사람을 착한 삶 그대로 껴안으면서 수수하게 보여주는’ 일을 사진찍기로 이루었습니다. 돋보일 까닭이 없는 사진이고, 꼭 이러한 사진결이어야 하기 때문에 스티브 매커리 님은 당신 나름대로 이러한 사진을 이루려 했습니다. 그렇지만 최창수 님은 겉으로 보이는 스티브 매커리 님 사진 질감과 빛깔만 따라하고야 맙니다.

 더 예쁘게 나올 까닭이 없는 사진이고, 더 멋지게 보일 까닭이 없는 사진입니다. 더 대단하게 보여야 하는 사진이 아니요, 더 널리 팔리거나 내보일 사진이 아닙니다.

 사진은, 사람이 살아가는 삶을 착하게 담는 그릇입니다. 사진은, 사람이 부대끼는 나날을 참다이 일구는 호미입니다. 사진은, 사람이 어깨동무하는 누리를 곱게 보듬는 손길입니다.

 더 많은 곳을 돌아다니면서 더 많은 사진을 찍어도 좋습니다. 다만, 더 적은 곳을 돌아다니거나 더 조금 사진을 찍어도 좋아요.

 사진은 남한테 보여주려고 찍을 수 없어요. 찍은 사진을 누군가 본다고 할 테지만, 사진은 남한테 보여줄 마음으로 찍지 않아요. 누구한테 읽히려고 쓰는 글이 아니고, 누구한테 자랑하려고 그리는 그림이 아니에요. 가슴속에서 솟아나는 아름다움을 붓이나 연필이나 사진기를 쥐어 살포시 옮길 뿐입니다.

 착한 사람들이 웃어 줍니다. 웃을 만하니까 웃습니다. 착한 사람들이 시무룩합니다. 시무룩할 만하니까 시무룩합니다.

 아프가니스탄이 왜 아프가니스탄일까요. 예멘은 왜 예멘이고, 이란은 왜 이란인가요. 중동과 아프리카에 넘치는 무기는 누가 만들어서 누가 팔고 누가 사서 누가 쓸까요. 왜 전쟁은 끊이지 않고, 왜 강대국과 선진국은 전쟁무기뿐 아니라 사진예술로까지 장사를 할까요. ‘프로 사진쟁이’와 ‘상업 사진쟁이’는 어떻게 다르고, ‘사진쟁이’와 ‘사진 장사꾼’은 어떻게 다를는지요.

 최창수 님이 두 번째 《지구별 사진관》을 내놓을 생각이 있다면, 두 번째 사진책을 내놓을 적에는 두 번째 책에 담긴 사진으로 찍힌 이들한테 돈을 듬뿍듬뿍 주기를 바랍니다. 모델값을 주어야지요. 초상권이 있잖아요. 가난한 나라이기 때문에 얼굴사진을 찍힌 다음에 돈을 바라지 않습니다. 적어도 이만큼은 초상권 값을 치러야 하기 때문에 내주어야 하는 돈입니다. 티벳사람만 ‘사진으로 찍힐 때에 내 넋이 빠져나간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서양사람이든 일본사람이든 한국사람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잘 찍은 사진이든 잘 못 찍은 사진이든, 찍히는 사람들 넋이 사진에 스며듭니다. 착한 사람들이 착하게 내준 고운 넋을 사진책으로 엮을 때에는 ‘웃는 얼굴’ 사진만으로는 아무런 이야기를 들려줄 수 없습니다.

― 지구별 사진관 (최창수 사진·글,북하우스 펴냄,2007.10.29./12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