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원?... 그 사람의 시(詩) 한줄만 못하다
상태바
1,000억원?... 그 사람의 시(詩) 한줄만 못하다
  • 전갑남 객원기자
  • 승인 2023.08.21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토에세이]
길상사에는 길상화 보살과 법정 스님의 혼과 정신이 있다

서울 성북동에 삼각산 길상사가 있다. '맑고 향기롭게' 근본 도량이다. '맑음은 개인의 청정을, 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메아리'를 뜻한다고 한다.

서울에 올 일이 있을 때 몇 번 길상사를 찾았다. 얼굴을 달리하며 피어나는 꽃들과 소박하고 깨끗한 분위기는 잠시 쉬어가기에 참 좋다. 도심 속 사찰 길상사는 파란 하늘 문이라도 열어놓은 듯 숲속 맑은 바람이 불어오고, 흐르는 개울물에 마음도 씻기는 듯 차분해진다.

 

삼각산 길상사 일주문. 신도들 뿐만아니라 일반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삼각산 길상사 일주문. 신도들 뿐만아니라 일반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길상사 정랑.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화장실인데 신발을 벗고 출입한다.
길상사 정랑.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화장실인데 신발을 벗고 출입한다.

 

일주문에 들어서며 합장하는 신도들, 그 모습이 경건하다. 짧은 치마나 반바지 옷차림도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정랑(淨廊)'이라는 화장실 이름이 이색적이다. 사찰에선 해우소라 하여 근심을 덜어낸다는데, 깨끗한 복도라는 뜻의 정랑이라! 공중화장실인데도 실내화로 갈아신고 들어간다.

지난 16일(수), 길상사에선 마침 백중 49재 중 5재 법회가 열리고 있었다. 질서 있게 매달린 하얀 연등은 하늘에 수국이 피어 있는 듯싶다. 망자의 극락왕생을 비는 염원을 담은 꽃등이 아름답다.

 

백중 49제 법회가 열리고 있는 길상사.
백중 49제 법회가 열리고 있는 길상사.

 

주지 스님의 낭랑한 축원에 잠시 귀 기울여본다

"자비하신 부처님, 선망하신 부모님 형제자매 일체 인연 있는 영가들이 고통 없는 극락세계에서 왕생하도록 하옵소서."

 

길상사 범종각.
극락전 앞에 홍련이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길상사 범종각
길상사 범종각

 

법당 앞 커다란 화분에 홍련이 예쁘게 피었다. 흰 연등에 붉은 연꽃이 한폭의 그림이 되어 녹음 가득한 도량을 아름답게 수놓는다. 소담한 연꽃을 보니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이다.

무소유의 삶을 실천한 법정 스님은 연꽃을 보며 말하였다.

"살벌하고 삭막한 현실에서 연꽃처럼 푸근하고 향기로운 마음의 꽃을 피우면 어떨까?"

스님은 연꽃에서 청청한 마음을 찾으려 했다. 맑고 향기로운 무소유의 철학을 설파했다. 무소유란 무엇인가? 아무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필요하지 않은 것을 갖지 않고, 이웃과 나누는 것이라 했다. 그리하여 '마음을, 세상을,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가꿔보자는 뜻을 실었다.

 

아름다운 이야기가 있는 길상사​​

길상사의 싱그러운 여름. 도심 한복판 짙은 녹음은 아름다운 정원이 정원을 이루었다. 여기저기 둘러볼수록 맑고 기품있는 분위기가 특별하다.

길상사는 오랜 역사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사찰이 아니다. 웅장함이나 화려함과도 거리가 멀다. 하지만 길상사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계곡 사이 고풍스러운 다리를 건너자 조그마한 사당(祠堂)이 보인다. 사당 앞에는 공덕비 하나가 세워져 있다. 시주 길상화 보살 김영환의 공덕비이다.

 

시주 길상화 보살의 공덕비. 길상화는 김영환의 불명이다.
시주 길상화 보살의 공덕비. 길상화는 김영환의 불명이다.
길상화 보살의 영정이 모셔진 사당.
길상화 보살의 영정이 모셔진 사당.

 

길상화는 김영환의 법명으로 오늘의 길상사를 있게 인물이다. 김영환과 길상사와는 어떤 인연이 있는 걸까? 길상사는 처음부터 절이 있던 터가 아니고, 김영환이 운영하던 요정 대원각이 있던 자리였다.

김영환은 법정 스님의 '무소유'라는 책을 읽고 깨달은 바가 있어 보통사람은 상상하기도 어려운 7000여 평에 40여 동 대원각을 법정 스님께 기부하였다.

 

길상사는 옛 요정 대원각 건물로 세워졌다.
길상사는 옛 요정 대원각 건물로 세워졌다.

 

처음 김영환이 대원각을 부처님께 바치겠다고 하자 법정은 "나는 주지를 해본 적도 없고, 큰일을 할 인물도 못 된다."라며 거절하였다. 한 사람은 10년을 부탁하고, 한 사람은 10년을 거절하고! 두 사람의 진심이 통했을까? 법정 스님은 주지를 맡지 않고, 승보사찰 송광사의 말사가 되어 길상사는 1997년에 태어났다. 당시 대원각은 시가 1,000억에 달하였다고 한다. 법정의 무소유 철학과 이를 실천한 김영환의 통 큰 기부는 세간의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김영환은 '시인의 시인'이라고 하는 백석과의 인연으로도 유명하다. 남과 북으로 갈라져 이루지 못한 사랑은 백석이 남긴 사랑의 시로 태어나 공덕비 옆에 쓰여있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라는 백석의 시구 일부를 옮겨 본다.

 

눈은 푹푹 나리고 /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 나타샤가 아니올 리 없다 /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 눈은 푹푹 나리고 /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당시, 김영환이 그 큰돈을 기부하였을 때 사람들이 물었다. "아깝지 않느냐"고! "1,000억 원이라고 하는 돈은 그 사람(백석)의 시 한 줄만도 못하다!" 그녀가 한 말은 많은 사람들을 감동케 했다.

백석의 시를 다시 읽어본다. 두 사람의 사랑이 더욱 애틋하게 느껴진다. 무소유를 실천한 김영환의 유언으로 "화장하여 눈이 펑펑 내리는 날 유골을 이곳에 뿌려달라" 했다고 했다. 백석의 시에서 나온 시구처럼….

 

법정 스님의 숨결이 있다

조금 비탈진 곳에 진영각이 나타난다. 진영각은 법정 스님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장소이다. 진영각 내부에 스님의 영정과 스님이 남긴 수많은 저서와 평소 쓰던 검소하고 소박한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누더기처럼 해진 법복은 스님의 무소유 정신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다.

 

진영각. 법정 스님의 진영을 모시고 저서 및 유품을 전시한 전각이다.
진영각. 법정 스님의 진영을 모시고 저서 및 유품을 전시한 전각이다.
법정 스님의 체취가 남아있는 의자.
법정 스님의 체취가 남아있는 의자.

 

진영각 뜰 한쪽에 법정 스님 유골이 묻혀있다. 어떤 사람은 손을 모아 합장을 한다. 건물 한 귀퉁이에 낡은 의자가 눈에 띈다. 예사롭지가 않다. 스님이 손수 통나무를 잘라 만들었다고 한다. 의자에서 아련한 스님의 체취가 느껴진다.

군데군데 작은 오두막 같은 집들이 여기저기 있다.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 처소라고 한다. 발소리를 낮춘다. 설법전 앞 관음보살 조각상이 인상적이다. 찬찬히 보니 성모님의 얼굴을 한 불상이다. 종교 간 화해의 염원이 담겼다고 한다.

 

길상사 관음보살상. 종교간 화합의 염원을 담았다고 한다.
길상사 관음보살상. 종교간 화합의 염원을 담았다고 한다.
길상사 석탑. 무주상보시한 길상화 보살과 법정 스님의 고귀한 뜻을 기리고자 세웠다.

 

사찰 모퉁이에 7층 석탑 하나가 서 있다. 무소유를 실천한 길상화 보살과 법정 스님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한 걸음 한 걸음 발길을 옮기는데, 여기저기 풀꽃들이 예쁘게 고개를 내밀었다. 큰 화분에 핀 부레옥잠, 수행 스님이 거처하는 집 담엔 능소화가 피었다. 점심 공양을 하기 위해 들린 선열당 작은 연못에 핀 수련도 참 이쁘다. ​

비빔밥과 시원한 미역 냉국으로 점심 공양을 마치고 일주문을 나선다. 매미들은 진한 녹음이 우거진 숲속에서 합창하며 막바지 더위를 토해 내고 있다.

 

길상사에 핀 부레옥잠화. 길상화에는 많은 꽃들이 피고 있었다.
길상사에 핀 부레옥잠화. 길상화에는 많은 꽃들이 피고 있었다.
능소화도 스님들의 처소 담장에 예쁘게 피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