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한 조각은 사랑
상태바
시 한 조각은 사랑
  • 최종규
  • 승인 2011.10.05 0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책읽기 삶읽기] 박지웅, 《너의 반은 꽃이다》

 내 아버지는 시를 썼습니다. 내 어릴 적 예쁜 보금자리였던 열세 평짜리 자그마한 아파트를 떠올려 봅니다. 아버지는 당신이 쓴 시를 손수 종이에 적바림하고 틀에 끼워 벽에 걸었습니다. 마루에도 큰 방에도 문간에도 이런 시틀이 여럿 걸렸습니다.

 내 어머니는 시를 쓰지 않았습니다. 아니, 어머니는 글을 쓸 겨를이 없습니다. 집일하고 집살림하며 부업까지 해야 했습니다. 이러는 동안에도 어머니는 손뜨개로 무엇이든 다 만들었습니다. 걸상다리 끌리지 말라며, 걸상다리에 받칠 싸개까지 손뜨개를 하셨고, 추운 겨울 손이 차가울 테니, 쇠붙이 문고리마다 싸개를 씌우려고 하나하나 뜨개질을 하셨습니다. 아주 빠른 손놀림으로 척척 빚어낸 문고리 싸개는 우리 집에 다 하고도 남아서 이웃집에 선물하기도 합니다. 꽃그릇 받침싸개도 손뜨개로 만듭니다. 형과 나와 아버지가 입을 옷을 척척 뜨개질로 만듭니다. 하룻밤만에 손뜨개로 예쁜 옷을 만듭니다. 나는 손뜨개 옷이 예쁘기는 하지만 쑥쓰러워서 이 옷을 입고 학교에 가기 부끄러웠지만, 학교에서 다른 동무들은 내 손뜨개 옷을 보며 몹시 부러워 했습니다. 부러워 하는 동무들을 볼 때마다 더 부끄러워서 고개를 못 들곤 했습니다.

 우리 형은 시를 썼습니다. 형이 쓴 시 가운데 하나는 형이 고등학생 때에 인천 새얼문화재단이 마련한 백일장에서 상을 받기도 했고, 형이 쓴 시가 학교잡지(교지)에 실리기도 했습니다.

 곰곰이 떠올립니다. 내 아버지가 쓴 시가 중앙일보 새봄글잔치 동시 갈래에서 뽑힌 적 있습니다. 아버지는 신춘문예라는 이름이 걸린 새봄글잔치에서 상을 받고 싶어 하셨고, 아버지 동무나 작은아버지 들은 그 나이에 무슨 그런 이름을 얻으려 하느냐고 핀잔을 했지만, 아버지는 이런 핀잔 저런 푸념을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잘 모르겠지만, 아버지는 당신이 하고픈 일과 당신이 이루고픈 꿈을 바라보며 글길을 걸었으리라 느낍니다.

 나도 시랍시고 무언가를 끄적여 보곤 했습니다. 아버지가 쓴 동시를 읽으며 나도 시를 쓰자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형이 쓴 시를 읽고 나서 ‘아, 그렇구나. 시란 이렇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형은 동생이 쓴 시를 읽으며 “종규야, 이건 시가 아니라 산문이네.” 하고 꼭 한 마디만 했습니다. “왜 시를 쓰려고 하니. 굳이 시를 쓰려고 하지 마.” 하는 말도 곁들였습니다.

 내가 시랍시고 무언가를 끄적이는 힘은 형이 들려준 두 마디입니다. 그래요. 나는 아직 시를 쓸 줄 모르지만 그냥 시라는 이름으로 무언가 글을 끄적이기도 합니다. 누군가한테 읽히거나 보여주려는 시가 아니라, 내가 살아가는 나날을 사랑하고 싶어 문득 느낌이 꽃으로 필 때에 한 줄 두 줄 적바림합니다. 더 헤아리니, 형이 들려준 두 마디에 한 마디가 더 있습니다. “산문도 좋아.”


.. 꽁초를 버리고 침도 뱉으며 이 거리에 익숙해질 것이다 ..  (44쪽/청진동 골목에 자반고등어처럼 누워 있기)


 두 달쯤 지난 일인데, 첫째 아이를 수레에 태워 자전거를 몰며 읍내 장마당을 다녀오던 때였습니다. 빗속을 뚫으며 헉헉거리며 몹시 고단하던 날이었어요. 숯고개 오르막을 거의 다 오르며 땀을 비오듯 쏟다가 퍼뜩 한 가지가 떠올랐는데요, 나는 나대로 힘들다지만, 수레에 탄 채 아버지랑 비를 고스란히 맞는 이 어린 아이도 참말 힘들지 않겠느냐고, 자전거를 앞에서 끄는 사람 못지않게 수레에 가만히 앉아서 함께 돌아다니는 아이야말로 고단하지 않겠느냐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오르막 꼭대기를 삼십 미터쯤 남긴 자리에서 자전거를 멈추고 아이를 돌아보았습니다. 아이 얼굴에는 졸음과 고단함이 알뜰히 묻었습니다. 아이한테 살살 말을 걸었습니다. 이 시골길에 자동차 거의 없고, 이 멧자락 길 둘레로 온통 멧부리요 밭인데, 저 멧부리를 바라보면 구름이 있다고, 이제 좀 비가 그친다고. 이때에, 멧등성이에 걸린 구름이 보였고, 이 구름을 보면서 “구름이 산에 앉아서 쉬네.” 하고 얘기했습니다. 아이는 아버지가 하는 말을 똑같이 따라합니다. 아이는 이때부터 산과 구름을 볼 때면 아버지가 들려준 말을 되풀이합니다. “구름이 산에 앉아서 쉬네.”

 나도 좀 쉬고 싶어서, 이 힘겨운 길에서 다리쉼을 하고 싶어서, 살짝 자전거를 멈추며 저 구름과 같이 쉬고 싶어서, 가슴속에서 말이 한 마디 튀어나왔습니다.

 나는 이 말이 좋아 조그마한 수첩에 살며시 끄적였습니다. 수첩에 끄적일 때에는 ‘산’이라는 낱말이 아닌 ‘멧등성이’나 ‘멧기슭’이라는 낱말로 바꾸었습니다.


.. 문어는 하얗게 익어가는 발을 가슴에 얹는다 ..  (46쪽/문어)


 아이하고 자전거마실을 하며 능금밭 사이로 난 시골길을 지날 때에 “여기 봐. 푸른 사과야.” 하고 말하면, 아이는 뒤에서 “푸른 사과?” 하고 묻고, 나는 “응, 푸른 사과. 푸른 능금.” 하고 말하면 “푸른 능금?” “응, 푸른 능금, 푸른 사과.” 하고 말을 섞습니다. 이때부터 능금밭을 지날 때마다 아이는 아버지하고 말놀이를 합니다. “능금이다, 능금.” “응, 능금이야, 사과.” “사과?” “능금.” “능금?” “사과.”

 나는 우리 아이가 ‘사과’라는 낱말에만 길들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오얏나무를 보면서도 똑같이 되풀이합니다. “오얏이야?” “응, 오얏이야. 자두나무.” “자두?” “응, 오얏.” “오얏?” “응, 자두.” 이 아이가 ‘자두’라는 낱말만 알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어쩔 수 없겠지요. 네 식구끼리 시골자락에서 조용히 지낸다면, 우리끼리 능금이며 오얏이며 말하며 살아가면 되고, 멧자락이니 멧부리이니 하고 이야기꽃을 피우면 됩니다. 그러나, 둘레 다른 사람들은 이 말들을 못 알아들어요. 모두 한국사람이지만 참말 한국말을 몰라요.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어쩔 수 없이, 나는 아이한테 ‘두 갈래 한국말’을 들려주고야 맙니다.


.. 길에, 나비 하나 굴러다닌다 / 죽어서도 팔랑거린다 ..  (80쪽/슬프지 않은 시)


 아이하고 살아가며, 옆지기하고 살아내며, 둘째를 낳으며, 새 보금자리를 찾아 아버지 홀로 자전거를 끌고 춘천마실을 하면서, 여관에서 하루를 묵으며 지친 몸을 달래고 빨래를 하며, 곰곰이 생각에 잠깁니다. 지친 몸이지만 여관에서도 어김없이 새벽 네 시에 눈을 뜹니다. 새벽 네 시에 부시시 일어나 여관 텔레비전을 켜서 ‘참으로 볼 만한 영화를 하나라도 보기를 꿈꾸’지만 볼 만한 영화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텔레비전을 다시 끄지 않습니다. 무언가 아쉬워서.

 가만히 생각에 잠깁니다. 이무렵, 새벽 네 시, 다섯 시, 여섯 시에, 시골집에서 두 아이하고 부대끼는 옆지기는 잠에서 깼을까 하고. 얼마나 고단하면서 달콤한 잠자리에 들었을까 하고. 밥은 알맞고 맛나게 먹겠지 하고 생각해 봅니다. 집안을 치우지 못해 아주 어지럽다고 하는데, 부디 옆지기가 곱게 기운을 차리면서 첫째 아이하고 집안을 예쁘고 정갈히 돌볼 수 있기를 빕니다. 예쁜 넋과 예쁜 말로 우리 예쁜 삶을 사랑하는 새 하루를 기쁘게 맞이할 수 있기를 빕니다. 부디 오늘은 맑은 햇살이 드리우면서 둘째 기저귀 빨래가 벅차지 않기를 빕니다. 멧자락에서 옆지기가 숲 기운과 풀 기운과 나무 기운을 어여삐 받아들여 착하며 참다운 어머니로 새 날과 새 이야기를 마음껏 길어올릴 수 있기를 빕니다.

 이 비는 마음 모두를 그러모아 시랍시고 글을 수첩에 끄적입니다. 네 삶은 그예 시요, 내 삶 또한 착하게 산문입니다.


.. 살아가다 문득, 도시 바닥에 암매장된 ‘흙’을 본다. 도시의 나무들은 흙에 뿌리를 내렸다기보다는 그 위에 꽂혀 있다. 우리가 봉쇄한 땅에서 저 나무들은 살아간다 ..  (122쪽/시인 말)


 자그마한 시를 모은 작은 책 《너의 반은 꽃이다》(문학동네,2007)를 읽었습니다.이 시책을 내놓은 분은 ㅎ출판사에서 편집 일을 합니다. ㅎ출판사에서 편집 일을 하는 글쓴이를 꽤 예전부터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었으나, 정작 이분이 ‘시를 써서 상도 받고 시책도 곱게 내놓은 줄’을 몰랐습니다. 시책을 한 권 선물로 받고 나서 오래도록 곰곰이 생각하고 옆지기와 함께 읽으며 새삼스레 돌아보았습니다. 그렇구나, 시를 쓰면서 살아가다가 책 만드는 일을 하시는구나.

 돌이키면, 책삶이란 시삶이고, 시삶이란 책삶이 되겠지요. 시를 만지고 시를 돌볼 수 있기에 책 하나 알뜰히 여밀 수 있고, 책 하나 알뜰히 여미면서 당신이 사랑하는 짝꿍하고 작은 살림집을 얻어 작은 사랑꽃을 일굴 수 있겠지요.

 여관 텔레비전에서 흐르는 영화나 연속극이나 만화는 왜 하나같이 소리를 빽빽 지르고 억지스레 웃거나 울까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노릇이기도 하겠다고 느낍니다. 엊저녁, 전과 17범이라고 밝히는 어떤 분이 곧 18범이 된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가만히 생각했습니다. 17범이든 7범이든 700범이든 사람은 사람이잖아요. 사람 마음에 사랑이 있으면 다 좋은걸요. 이분이 하는 ‘사업’이란 ‘색시집 사업’일 텐데, 당신이 하는 ‘회사’에서 쓸 ‘사훈’을 저보고 하나 써 달라 하셔서, 이 자리에서 곧바로 “맑은 아름다움으로 사랑스럽게”라고 종이조각에 적바림해서 드렸습니다.

 내 마음이 곧 “맑은 아름다움으로 사랑스럽게”이기 때문이에요. 맑은 아름다움으로 사랑스럽게 살아가고 싶기 때문이에요. 남들이 이렇게 살아가기를 바라지 않아요. 내가 이렇게 살아가고 싶어요.

 시책 《너의 반은 꽃이다》를 읽는 내내, 나는 맑은 아름다움으로 사랑스럽게 살아가고픈 내 삶길을 거듭 되뇌었습니다. ㅎ출판사에서 책을 만지며 하나하나 내놓는 글쓴이 박지웅 님 또한 종이에 아로새겨질 새로운 이야기에 맑은 아름다움으로 사랑스러울 마음을 차곡차곡 담겠다고 느꼈습니다.

 시 한 조각은 사랑일 테니까요. 산문 한 다발은 꿈일 테니까요.

 희뿌옇게 밝는 새벽하늘을 올려다봅니다. 하늘에 가득한 구름 사이사이 파란 빛깔 하늘이 얼핏 보입니다. 이 하늘 틈바구니 어디에선가 맑은 햇살이 내리쬘 수 있겠다고 느낍니다. 이 맑은 햇살이 아무쪼록 음성땅 멧부리 한켠에도 살그머니 내려앉아 우리 옆지기하고 두 아이 가슴녘에 따사로이 스미기를 빕니다.

― 너의 반은 꽃이다 (박지웅 글,문학동네 펴냄,2007.12.7./7000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